[102호] 2024 "구해줘! 아디홈" 후원의 밤 행사에 초대합니다.

2024-10-28



11월 28일 "구해줘! 아디홈" 후원의 밤 행사가 진행됩니다.
아디가 지난 8년간 아시아 인권 평화 디딤돌 역할을 지속할 수 있도록
단단한 디딤돌이 되어 주셔서 고맙습니다.


이번 후원의 밤 행사에서
참석자분들과 대화를 나누며
아디의 활동 소식, 현장의 목소리를 들어보세요!


2024 "구해줘! 아디홈" 후원의 밤에
 아시아 인권 평화 디딤돌이 되어주신 분들, 
또 되어주실 분들을 초대합니다.

  • 일시: 2024년 11월 28일(목) 19:00-21:00
  • 장소: 헤이그라운드 서울숲점 10층 Hall80(서울시 성동구 왕십리로 115)
  • 프로그램: 저녁식사 나눔, 참석자 소개, 환영사, 아디 활동 돌아보기, "구해줘! 아디홈" 캠페인 성과 공유, 현장에서 온 선물 나눔
○ 참가신청은 하단 신청하기를 눌러주세요


"구해줘! 아디홈" 후원의 밤에서는 특별한 아이템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방글라데시 출장에서 직접 가져온 물품들입니다. 아디의 로힝야 여성회복역량강화 프로젝트 당사자인 샨티카나 여성들이 수작업으로 만든 다용도 천과 로힝야 청년이 창의적으로 디자인한 뾰꾸(뾰루지 꾸미기) 패치를 먼저 보여드려요! 
이 외에도 다양한 물품이 있으니 오셔서 겟!하세요. 핸드메이드의 따뜻함과 개성 넘치는 패치를 통해 모금 캠페인에 동참할 수 있습니다. 의미 있는 구매로 아디를 응원해 주세요!


"구해줘! 아디홈" 특별모금 100일 캠페인을 진행중입니다. (09.12.-12.21.)
$%name%$ 님 안녕하세요, 
8년차인 아디는 지금까지 6번의 이사를 했고 내년 초에도 현 장소 계약 만료로 또 이사를 준비해야 합니다. 아디는 모금 캠페인을 통해 반복되는 사무실 이전의 어려움을 해결해보고자 합니다. 현재 안정적 사무공간 마련을 위해 모금 캠페인을 진행 중인데요, 모금달성률이 저조합니다. 아디가 100도를 달성하여 안정적인 사무공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 자세한 내용은 하단 '바로가기'를 클릭해 주세요! *기부금 영수증 발급 가능합니다.

한눈에 보는 [10]의 아디

🎈 "구해줘! 아디홈" 보증금 마련 특별모금 100일 캠페인이 진행중입니다. (바로가기)
🎈 "구해줘! 아디홈" 후원의 밤 행사에 함께해주세요! (바로가기)
📢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긴급구호(2차) 모집 및 사용 최종 보고.(바로가기)
📢 [팔레스타인] '이스라엘 규탄 10.5. 전국집중행동의 날'에 함께했습니다.
📢 [팔레스타인]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공격 규탄 한국 시민사회 26차 긴급행동에 함께했습니다.
📢 [팔레스타인] 아디x팔랑 [우리가 팔레스타인과 만날때] 3차 대중강연을 진행합니다. (바로가기)
📰 [팔레스타인] 이동화 활동가 기고문 - 'WCNSF를 아시나요?' (바로가기)
📢 [로힝야] 로힝야를 잇다@서울편 - 이주, 피신, 탈출을 둘러싼 사람들의 이야기를 진행합니다. (바로가기)
📢 [로힝야] 아디는 방글라데시 파트너 단체와 콕스바자르 인도적 지원 포럼을 개최했습니다. (바로가기)
📢 [결과보고] 가자지구 긴급구호 2차 모금 캠페인 최종 보고


사단법인 아디는 ‘팔레스타인과 연대하는 한국 시민사회 긴급행동’과 함께 지난 2024년 3월 21일부터 2024년 5월 31일까지 ‘가자지구 긴급구호 2차 모금 캠페인’을 진행했습니다. 그 결과 총 85,258,472원을 모금하여, 현지 여성 지원 단체인 AISHA에게 55,399 유로(83,654,654원)를 송금하였고, AISHA는 가자지구 내 폭격 피해를 입은 277가구, 전체 2,375명에게 가구당 200 유로(약 302,000원) 상당의 식료품 패키지를 7월부터 9월 초까지 배분하였습니다.

수혜가구 인터뷰 영상 (바로가기)

📰 이동화 활동가 기고문 - 'WCNSF를 아시나요?'


#3. 이스라엘의 가자 학살이 계속되면서 WCNSF라는 용어가 생겨났다. Wounded Child, No Surviving Family(WCNSF), 생존한 가족이 없는 부상당한 아이, 모함메드와 6명의 동생들과 같은 가자 지구의 아이들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모함메드는 아빠의 생존을 희망하며 동생들과 살아가기 위해 매일매일 분투하지만. 공습의 폐허 속에서 기적적으로 살아남은 다른 아이는 아빠와 엄마가 없는 이 현실이 지옥이라며 자신도 부모와 함께 죽었기를 바란다며 절규한다. UN은 이미 가자지구가 아이들의 공동묘지가 돼 버렸다고 했다.
○ 자세한 내용은 하단 '바로가기'를 클릭해 주세요!

📕 [모집] All ways, 로힝야를 잇다 - 공간을 잇다 (서울편) 📕 

∘ 이주, 피신, 탈출을 둘러싼 로힝야 사람들의 이야기
세션 1: 이주  '서로를 돌보며 한계 너머로 걸어가는 사람들'
세션 2. 피신  '로힝야, Now'
세션 3. 탈출  '망망대해에서 울리는 외침'  
세션 4. 연대  함께 추는 평화의 춤  

『춤추고 싶은데 집이 너무 좁아서 』
   (파시클출판사)
 저자: 공선주, 오로민경, 이승지, 이유경, 전솔비

#로힝야 #난민 #여성 #상호돌봄 
#공동체 #샨티카나

º 행사일시│2024.11.14.(목) 19시-21시
º 행사장소│성동구 왕십리로 헤이그라운드
                 서울숲점 10층 
º 참가비│1만원 (※ 정기후원자 : 무료)
º 입금처1005-004-289427(우리은행/사단법인 아디)


💌 분쟁 현장의 변화 이야기 💌
👭팔레스타인 여성지원센터 : 조금만 기다려! "Speak-up"의 이야기는 세상을 만날 준비 중

“Speak-up” 1차년도의 대장정이 끝을 보이고 있네요. 그간 참가자들은 환경과 스스로의 한계에 맞서면서, 피하지 않고 부딪히면서, 끊임없이 성장해 왔습니다. (...) 참가자들의 배움은 단지 기사를 쓰거나 뉴스 영상을 제작하는 것에 그치지 않을 것입니다. 마지막 시간에 배운 출판과 웹사이트 관리 기술이 웹사이트 콘텐츠에 적극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지속으로 지원할 것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로힝야 여성 힐링센터 '샨티카나' : ADI SHSID의 따뜻한 마음이 샨티카나를 가꿉니다.
  "ADI SHSID"는 약 30여명의 고등학생들이 아디의 비젼과 미션을 받아 아디를 소개하고, 아디의 활동을 학교에서도 아시아 분쟁지역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인식개선 활동, 모금활동 등을  만들어들어나가고 있는 학생 동아리입니다. (...) 샨티카나의 로힝야 여성들은 ADI SHSID가 제작한 리플렛에 깊은 관심을 보였고 전달된 사진도 아주 좋아했습니다. 특히 중국 학생들의 따뜻한 마음에  "슈크리아"(감사합니다)를 연발하며 기쁨을 나누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미얀마 평화도서관 : 도서관 새학기 시작! "그럼에도, 우리는 평화를 만들어 갑니다."
 🌈로힝야 여성 힐링센터 '샨티카나' :  콕스바자르 인도적지원 포럼 “격려하고 연대하라”
아디와 방글라데시 파트너 단체인 RWWS, MAISHA가 공동으로 주최한 분쟁 및 취약 상황에서의 여성 임파워먼트에 대한 콕스바자르 인도적지원 포럼이 지난 10월 10일 방글라데시 콕스바자르에서 열렸습니다. (...)그동안 진행해온 사업들을 되돌아보며 자신들의 성장을 실감할 수 있었고, 앞으로도 로힝야 여성들의 이야기를 세상에 알리는 일에 더욱 힘을 쏟겠다는 다짐을 함께 나눴습니다. 이번 포럼은 상호 돌봄과 연대, 치유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일깨워준 뜻깊은 자리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디의 다양한 소식이 더 궁금하시다면?

사단법인 아디
adi@adians.net  /  02-568-7723
서울시 성동구 왕십리로 115 헤이그라운드 서울숲점 G402호 
수신거부 Unsubscribe

주소 : 서울시 성동구 왕십리로 115  헤이그라운드 서울숲점 G402호  | 전화번호 : 82-2-568-7723 | 이메일 주소 : adi@adians.net 

고유번호 : 859-82-00276 | 대표자 : 박상훈

유엔 ECOSOC 특별협의지위 자격단체

기재부 고시 지정기부금단체 (기부금영수증 발부)


COPYRIGHTⓒ2016 ADI All rights reserved. 

SITE BY SANCHAE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