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호] 아디의 9월 소식과 새로운 캠페인

2024-09-30


"구해줘! 아디홈" <보증금 마련 특별모금 100일 프로젝트>

아디의 안정적 근무 환경 조성을 위한 "구해줘! 아디홈" <보증금 마련 특별모금 100일 캠페인>을 소개합니다! 👐 아디는  2016년에 창립하여 국내에서 유일하게 아시아 분쟁지역에서 피해생존자의 인권보호와  인권기록, 현지 활동가 역량강화, 피해공동체  회복,  인도적 지원 및 개발협력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활동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사무 공간이 필수적입니다.

안정적 공간을 마련하지 못해서 지난 8년 동안 무려 6번의 이사를 했고, 조만간 7번째 이사를 앞두고 있습니다. 안정적인 공간의 보증금을 마련하기 위해 여러분의 따뜻한 후원이 필요합니다. 🙏아디가 안정적인 사무실로 이사하기 위해 필요한 보증금은 총 3,000만 원입니다!이번 캠페인을 통해 모인 후원금은 아디의 새 사무실 보증금으로 사용될 예정입니다.


여러분의 소중한 후원은 아디가 안정적인 환경에서 활동할 수 있는 큰 힘이 됩니다. 
이번 모금에 참여해주신 분들은 아디 홈페이지의 '함께하는 사람들- 구해줘 아디홈 후원자 목록' 코너에 이름이 등재됩니다. 여러분의 따뜻한 마음이 모여 아시아 분쟁지역에 평화를 심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name%$ 님도 그 순간까지 아디와 함께 해주세요.

한눈에 보는 [9]의 아디

📢 [사무국] 2024년도 하반기 사단법인 아디 정기 이사회를 진행했습니다.
📢 [팔레스타인]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공격 규탄 한국 시민사회 23차, 24차 긴급행동에 함께했습니다.
📢 [팔레스타인] 아디x팔랑 [우리가 팔레스타인과 만날 때] 1차 대중강연을 진행했습니다. (바로가기)
📢 [로힝야] 광주 '소년의서' 독립책방에서 북토크를 진행하였습니다.(바로가기)
🎈 [캠페인] "구해줘! 아디홈" 보증금 마련 100일 캠페인을 시작합니다. (바로가기)
📢 [행사후기] 광주 ‘소년의서’ 독립책방에서 열린 북토크


#로힝야 여성 #난민 #네트워크

북토크에는 저자 공선주, 전솔비, 그리고 소년의서 임인자 대표가 함께했는데요, 이 자리에서 로힝야 여성들을 위한 다목적 힐링센터 '샨티카나'의 이야기가 소개되었습니다. 방글라데시 콕스바자르에 위치한 세계 최대의 난민 캠프에서 살아가는 로힝야 여성들의 강인한 회복과 연대의 과정을 조명하며, 그들이 트라우마를 치유하고 작은 공동체를 형성하는 과정을 나누는 시간이었답니다. 참석자들은 난민 캠프에서 겪는 어려움과 그 속에서 성장해나가는 로힝야 여성들의 이야기를 깊이 있게 들을 수 있었습니다.

로힝야 학살의 역사적 배경과 미얀마 군부에 의해 체계적으로 억압받아 온 소수민족의 이야기도 중점적으로 다뤄졌는데요...





💌 분쟁 현장의 변화 이야기 💌
👭팔레스타인 여성지원센터 
Speak-up프로젝트, 점령의 현실에 전면으로 투쟁하는 “Speak-up”의 여성 언론인

“Speak-up” 17차 시간에는 아민 아부 와르다 박사의 저널리즘과 미디어 교육이 진행되었습니다. 단신 기사와 기획 기사의 차이를 알고 각각의 기사 작성 기술을 함양하는 시간이었습니다. 와르다 박사는 아이디어를 구조화하는 단계에서부터 그렇게 작성된 글이 명확성과 객관성을 얻는 방법까지, 기사 작성의 필수 원칙을 강조하면서도 현대 저널리즘의 역동적인 요구에 적응할 수 있는 실용적인 틀을 참가자들에게 제공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로힝야 여성 힐링센터 '샨티카나' : 
 광주 ‘소년의서’ 독립책방에서 열린 북토크: 로힝야 여성들의 목소리
북토크에는 저자 공선주, 전솔비, 그리고 소년의서 임인자 대표가 함께했는데요, 이 자리에서 로힝야 여성들을 위한 다목적 힐링센터 '샨티카나'의 이야기가 소개되었습니다. 방글라데시 콕스바자르에 위치한 세계 최대의 난민 캠프에서 살아가는 로힝야 여성들의 강인한 회복과 연대의 과정을 조명하며, 그들이 트라우마를 치유하고 작은 공동체를 형성하는 과정을 나누는 시간이었답니다. 참석자들은 난민 캠프에서 겪는 어려움과 그 속에서 성장해나가는 로힝야 여성들의 이야기를 깊이 있게 들을 수 있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미얀마 '로까야다나' 평화도서관 : 
“곧 만나자!” 도서관의 신입생들을 맞을 준비를 하는 선생님들
📝로힝야 인권기록 : 사람 생명의 가치는 동일한가?

하지만 이러한 평화로운 집회와는 대조적으로, 2017년의 로힝야 대학살보다 더 심각한 두 번째 대학살이 진행 중이라는 소식도 들려왔습니다. 미얀마 여성 평화 네트워크 이사인 와이와이 누(Wai Wai Nu)는 미얀마의 로힝야인 수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으며, "라카인 주에 있는 친척들과 친구들은 이번 사태가 2017년보다 더 심각하다고 말하고 있으며, 이번이 두 번째 집단학살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아마 이전보다 더 끔찍한 방식일 것이다"라고 경고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디의 다양한 소식이 더 궁금하시다면?

사단법인 아디
adi@adians.net  /  02-568-7723
서울시 성동구 왕십리로 115 헤이그라운드 서울숲점 G402호 
수신거부 Unsubscribe

주소 : 서울시 성동구 왕십리로 115  헤이그라운드 서울숲점 G402호  | 전화번호 : 82-2-568-7723 | 이메일 주소 : adi@adians.net 

고유번호 : 859-82-00276 | 대표자 : 박상훈

유엔 ECOSOC 특별협의지위 자격단체

기재부 고시 지정기부금단체 (기부금영수증 발부)


COPYRIGHTⓒ2016 ADI All rights reserved. 

SITE BY SANCHAE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