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하다
팔레스타인-이스라엘 분쟁이
야기하는 인권침해사례를 조사하고
인권보고서를 발간합니다.
팔레스타인-이스라엘 분쟁은 한반도 분쟁과 더불어 21세기 현대사에서
가장 오래되고 구조적인 분쟁입니다. 아디는 이 분쟁으로 피해받고
소외된 사람들의 이야기를 기록하고, 숨겨진 진실을 연구하며,
피해공동체의 평화로운 자립을 위해 연대합니다.
또한 팔레스타인 현지에 여성지원센터를 운영하여 여성활동가들의
역량을 계발하는 교육을 지원합니다.
팔레스타인 인권기록사업
팔레스타인의 현황
-------------------
70년 이상 이어진 이스라엘의 점령과 폭력 그리고 여성으로서 겪는 젠더기반폭력은 팔레스타인 여성들에게 이중의 고통을 주고 있습니다. 서안지구 C지역의 경우, 70,000명의 팔레스타인 여성이 젠더기반 폭력을 겪었고 여성 실업률은 39.5%에 달해 여성은 경제적 어려움도 함께 겪고 있습니다.
아디 활동가에게 듣는
인권기록 이야기
인권기록은 왜 중요할까요? 아디는 분쟁지역의 커뮤니티가 주도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다던데 차별적인 아디만의 인권기록 방식은
어떤 것들인가요? 아디의 활동가가 직접 설명해 드립니다.
2018년에는 팔레스타인 내 이스라엘
불법정착촌에 대해 보고서를 발행했습니다.
2019년에는 팔레스타인들의 물에 대한 권리에 대해 기록했습니다.
2020년에는 팔레스타인 여성인권보고서 ‘아무도 그녀들에게 묻지
않았다’를 발간했습니다. 보고서에서 알리야는 유년기의 총격 사건에
대한 경험을 회고하고, 자밀라는 검문소를 굴욕과 죽음을 위한
점령지 검문소라 칭하며 많은 여성들이 검문소에서 아이를 낳을 수
밖에 없는 현실이 고통스럽다고 증언했습니다.
보고서는 3차 중동전쟁, 인티파다, 순교, 구금과 같은 구조적 폭력과
조혼, 가정폭력, 차별과 빈곤 등 여성의 사회적 현실까지 담고 있습니다.
점령과 젠더 폭력이 교차하는 상황을 적나라하게 담고 있습니다.
팔레스타인에는 이스라엘의 점령 이슈만큼이나
여성폭력의 문제도 심각해요.
하지만 문화적 특성 때문에 이를 드러내기가
쉽지 않죠. 전 세계적으로 미투 운동이
활발할 때도 여기에서는 미투 운동이 일어나지
않았어요. 팔레스타인에서는 여성폭력에 대한
이야기를 금기시하고, 외부에 알리는
것을 꺼려요.
- 팔레스타인 현장활동가 -
팔레스타인에는 이스라엘의 점령 이슈만큼이나 여성폭력의 문제도 심각해요.
하지만 문화적 특성 때문에 이를 드러내기가 쉽지 않죠.
전 세계적으로 미투 운동이 활발할 때도 여기에서는 미투 운동이 일어나지 않았어요.
팔레스타인에서는 여성폭력에 대한 이야기를 금기시하고, 외부에 알리는 것을 꺼려요.
- 팔레스타인 현장활동가 -
주소 : 서울시 성동구 왕십리로 115 헤이그라운드 서울숲점 G402호 | 전화번호 : 82-2-568-7723 | 이메일 주소 : adi@adians.net
고유번호 : 859-82-00276 | 대표자 : 박상훈
유엔 ECOSOC 특별협의지위 자격단체
기재부 고시 지정기부금단체 (기부금영수증 발부)
COPYRIGHTⓒ2016 AD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