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글은 지난 반 년간의 활동 소감이 담긴 쉬린의 편지 형태로 전달된 이야기입니다.
○ 쉬린(Shirin Zeidan)은 지난 6월부터 팔레스타인 나블루스 소재의 여성지원센터에서 일하는 상근활동가입니다.
▲ 이스라엘-가자지구 공격 이후 긴급한 상황을 논의하기 위한 지역 협회 회의 자리에서의 쉬린의 모습 ⓒ사단법인 아디
"여성지원센터는 팔레스타인 지역 사회의 조용한 동네 어딘가, 어떠한 이야기도 쉽사리 공개되지 않는 곳에 놓여있습니다. 이곳은 여성들의 자립, 강인함 그리고 변화를 위한 안식처입니다. 제가 활동가로써 이곳과 함께한 시간은 짧지만, 이곳의 변함없는 헌신과 마음을 발견하기에 그 시간은 짧지 않았습니다.
여성지원센터의 일원이 된다는 것은 여성들이 그들의 삶의 복잡한 매듭을 풀어나갈 때 그들과 함께 하겠다는 약속을 의미합니다. 또 여성지원센터의 일원이 된다는 것은 매일의 변화를 만들어내고, 목소리 낼 수 없는 사람들의 목소리가 되며, 취약성에서 벗어날 수 있는 힘을 목격할 수 있게 되었음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여성지원센터에서 저는 공감이 가장 강력한 도구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공감은 사람들의 마음의 문을 열고 간극을 좁히며, 여성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나누고 스스로의 가치를 느낄 수 있는 공간을 만듭니다. 지원 세션에서 공유된 이야기, 눈물, 그리고 웃음은 연결의 힘을 증명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저는 여성들 스스로 자신의 힘을 깨닫는 모습을 보며 활동가로써의 보람과 기쁨을 느낍니다. 이것은 상담하는 자, 받는 자의 경계를 초월하여 성장과 강인함을 공유하는 경험으로 발전하는 과정이기도 할 것입니다.
▲ 2023년 팔레스타인 평화여행 당시 여성지원센터에서 아디 활동가 및 평화여행 참여자와 센터 활동가간 모임 장면 ⓒ사단법인 아디
이야기의 힘, 용기 그리고 희망. 지난 시간을 돌아보면, 저는 종종 참여자들에게 여성지원센터에서의 가장 기억에 남는 이야기 물어보곤 했습니다. 각각의 이야기는 특별하지만, 그들을 하나로 묶는 것은 회복력을 담지한 공동체 정신입니다. 여성 생존자가 몇 년의 침묵 후에 목소리를 찾아가는 이야기 또는 독립을 되찾아가는 여성들의 이야기, 이러한 이야기들은 인간 정신의 승리를 반영합니다.
마지막으로, 저는 행동에 동참할 것을 요청합니다. 언급되지 않았던 이야기들을 계속해서 조명해 봅시다. 변화를 옹호하고 지지하는 기둥이 되며, 침묵하는 사람들에게 동조하는 목소리가 되어 주세요. 우리는 함께 모든 여성들이 힘을 얻고, 들려 지고, 가치 있다고 느끼는 세상을 만들 수 있습니다.
활동가로써 여성지원센터에서 제가 맡은 역할은 하나의 실입니다. 저는 이 여정을 지속하며, 여성들의 변화의 촉매제가 되는 역할에 대한 감사함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하나의 실, 더 크고 변혁적인 서사의 작지만 중요한 역할 말입니다."
▲ 2023년 팔레스타인 평화여행 당시 나블루스 지역에서 찍은 마을 정경 ⓒ사단법인 아디
○ 본 글은 지난 반 년간의 활동 소감이 담긴 쉬린의 편지 형태로 전달된 이야기입니다.
○ 쉬린(Shirin Zeidan)은 지난 6월부터 팔레스타인 나블루스 소재의 여성지원센터에서 일하는 상근활동가입니다.
▲ 이스라엘-가자지구 공격 이후 긴급한 상황을 논의하기 위한 지역 협회 회의 자리에서의 쉬린의 모습 ⓒ사단법인 아디
"여성지원센터는 팔레스타인 지역 사회의 조용한 동네 어딘가, 어떠한 이야기도 쉽사리 공개되지 않는 곳에 놓여있습니다. 이곳은 여성들의 자립, 강인함 그리고 변화를 위한 안식처입니다. 제가 활동가로써 이곳과 함께한 시간은 짧지만, 이곳의 변함없는 헌신과 마음을 발견하기에 그 시간은 짧지 않았습니다.
여성지원센터의 일원이 된다는 것은 여성들이 그들의 삶의 복잡한 매듭을 풀어나갈 때 그들과 함께 하겠다는 약속을 의미합니다. 또 여성지원센터의 일원이 된다는 것은 매일의 변화를 만들어내고, 목소리 낼 수 없는 사람들의 목소리가 되며, 취약성에서 벗어날 수 있는 힘을 목격할 수 있게 되었음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여성지원센터에서 저는 공감이 가장 강력한 도구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공감은 사람들의 마음의 문을 열고 간극을 좁히며, 여성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나누고 스스로의 가치를 느낄 수 있는 공간을 만듭니다. 지원 세션에서 공유된 이야기, 눈물, 그리고 웃음은 연결의 힘을 증명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저는 여성들 스스로 자신의 힘을 깨닫는 모습을 보며 활동가로써의 보람과 기쁨을 느낍니다. 이것은 상담하는 자, 받는 자의 경계를 초월하여 성장과 강인함을 공유하는 경험으로 발전하는 과정이기도 할 것입니다.
▲ 2023년 팔레스타인 평화여행 당시 여성지원센터에서 아디 활동가 및 평화여행 참여자와 센터 활동가간 모임 장면 ⓒ사단법인 아디
이야기의 힘, 용기 그리고 희망. 지난 시간을 돌아보면, 저는 종종 참여자들에게 여성지원센터에서의 가장 기억에 남는 이야기 물어보곤 했습니다. 각각의 이야기는 특별하지만, 그들을 하나로 묶는 것은 회복력을 담지한 공동체 정신입니다. 여성 생존자가 몇 년의 침묵 후에 목소리를 찾아가는 이야기 또는 독립을 되찾아가는 여성들의 이야기, 이러한 이야기들은 인간 정신의 승리를 반영합니다.
마지막으로, 저는 행동에 동참할 것을 요청합니다. 언급되지 않았던 이야기들을 계속해서 조명해 봅시다. 변화를 옹호하고 지지하는 기둥이 되며, 침묵하는 사람들에게 동조하는 목소리가 되어 주세요. 우리는 함께 모든 여성들이 힘을 얻고, 들려 지고, 가치 있다고 느끼는 세상을 만들 수 있습니다.
활동가로써 여성지원센터에서 제가 맡은 역할은 하나의 실입니다. 저는 이 여정을 지속하며, 여성들의 변화의 촉매제가 되는 역할에 대한 감사함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하나의 실, 더 크고 변혁적인 서사의 작지만 중요한 역할 말입니다."
▲ 2023년 팔레스타인 평화여행 당시 나블루스 지역에서 찍은 마을 정경 ⓒ사단법인 아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