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사회지원][활동] 샨티카나의 2023년을 돌아보며

2024-01-22
조회수 433


샨티카나의 2023년 돌아보며



새해를 맞이하는 데는 지난 해의 성과와 경험을 회고하는 시간이 빠질 수 없죠.

아디 역시 새해를 맞아 한해 동안 사업 현장에서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2024년 새해를 맞아 2023년 샨티카나에 있었던 변화들을 소개합니다.



샨티카나 운영 중지?!

지난 2023년 여름, 파트너 풀뿌리 단체인 로스(RWWS)의 구성원 일부가 ‘로힝야’ 정체성을 가졌다는 이유로 방글라데시 캠프 현장에서의 활동에 차별적인 제재를 받았습니다. 규제가 있었던 8월 한 달 동안 샨티카나 다목적여성힐링센터는 운영이 중지되었고, 하반기 프로젝트 운영 계획도 전반적으로 변경되어야 했죠. 지금은 샨티카나의 운영도 재개되었고, 현장에서 대비책도 마련해두었지만, 난민 캠프 내의 열악한 상황뿐만 아니라 로힝야 난민을 향한 차별 역시 큰 어려움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상황이었습니다.

투표를 위해 줄을 서있는 여성들의 모습. 여성들은 투표권을 가진 것 자체에 기쁨이 컸다고 한다. ⓒ사단법인 아디



샨티카나의 현지화 수준 레벨 업!

운영 상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샨티카나의 현지화 수준은 무럭무럭 성장한 한해였습니다.

 

개표하고 있는 현지 파트너 단체 직원들의 모습 ⓒ사단법인 아디


2023년 9월, 심리지원단 여성들의 높은 지지율로 초대 심리지원단 단장과 부단장이 선출되었습니다. 이번 선거는 공정한 과정을 바탕으로 이루어졌을 뿐만 아니라 심리지원단 여성들의 생애 ‘첫’ 선거였다는 점에서 더욱 뜻깊었는데요, 새로운 리더와 함께하는 로힝야 여성 심리지원단과 운영위원회의 2024년 활약이 더욱 기대됩니다.


"초대 심리지원단 단장 ‘숌시다’의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 샨티카나를 만드는 사람들 (3) 샨티카나 1대 단장_숌시다(Shomshida)
 (보러가기) 

한편, 샨티카나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운영 매뉴얼을 편집하고 배포하는 작업도 진행되었습니다. 2022년 처음 만들어진 운영 매뉴얼은 원래 영어로 제작되었는데요, 글을 읽기 어려워하는 로힝야 심리지원단 여성들이 힐링센터 운영 매뉴얼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2023년에는 로힝야어를 알파벳으로 풀어쓴 포스터로 배치했습니다. 알파벳을 읽기 어려워하는 여성들을 위해서 오디오 매뉴얼과 영상 매뉴얼도 추가적으로 제작되었다고 하네요!


샨티카나에 비치된 포스터 매뉴얼. 로힝야어를 알파벳으로 읽을 수 있도록 했다 ⓒ사단법인 아디


"샨티카나 매뉴얼에 숨겨진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 샨티카나 운영 매뉴얼이 로힝야어로 배포되었어요! 
(보러가기)


2023년 10월 31부터 11월 9일까지는 고급 트레이닝 과정을 마친 심리지원단 여성 30명이 ‘사람들에게 평화를 심리사회지원 교육원’(이하 사평) 선생님들과 함께 슈퍼비전을 진행했습니다. 심리지원단 여성들은 샨티카나 프로그램 진행을 검토하고 각 단계와 활동별 피드백을 받았는데요, 이번 슈퍼비전은 사평 선생님들과 심리지원단 여성들이 함께하는 마지막 슈퍼비전이라는 점에서 더 특별한 의미가 있었다고 합니다.


"사람들에게 평화를 선생님들의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 샨티카나를 만드는 사람들 (2) 사람들에게 평화를 
(보러가기) 



샨티카나와 함께 성장하는 여성들

샨티카나와 함께한 여성들 역시 한 해 동안 놀라운 성과와 변화를 보여주었습니다.

2023년 한 해 동안 총 2,584명의 여성이 샨티카나에 방문해 심리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했는데요, 이중 절반에 가까운 여성이 샨티카나를 재방문했다고 합니다. 샨티카나 연간 방문 건수는 2022년 대비 45%나 증가한 6,792건으로, 현장에서 샨티카나가 얼마나 많은 여성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는지를 잘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연말에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샨티카나의 심리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여성의 대부분이 안정적이고 높은 회복탄력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2년 대비 회복탄력성 평균 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했는데, 프로그램에 참여한 여성의 점수 상승폭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여성의 점수 상승폭보다 컸다고 하네요.

샨티카나에서는 심리지원프로그램과 함께 “커뮤니티 비즈니스 프로그램”이 제공되는데요, 2023년에는 프로그램을 수료한 여성들이 자신만의 사업을 바탕으로 수익을 창출한 눈부신 성과가 있었습니다. 로힝야 난민은 미얀마와 방글라데시 모두에서 시민권을 인정받지 못했기 때문에, 난민 캠프에서 직업을 가질 수 없습니다. “커뮤니티 비즈니스 프로그램”은 경제 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여성들에게 사업 키트 제공과 생계형 기술 교육,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사업을 바탕으로 수익을 창출하고 생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2023년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자신의 사업을 시작한 여성은 총 37명인데요, 이중 연말까지 수익을 창출한 여성이 78%나 된다고 합니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한 난민 여성은 “번 돈을 아이들의 교육비와 교복 구매에 사용했다. 생활비와 사업을 위한 더 많은 재료를 사는 데도 돈을 사용했다. 남은 돈은 저축했다.”며 프로그램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관리하는 이야기를 전해주었습니다. 2024년의 모니터링 결과가 더욱 기다려지는 이유입니다.


마켓에 참여한 샨티카나 여성들과의 기념사진 ⓒ사단법인 아디


"커뮤니티 비즈니스 프로그램을 통해 마켓에 참여한 여성들의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 샨티카나, 로힝야 난민캠프 14에서 마켓을 열다 (보러가기)



2024년 아디와 샨티카나는 또다른 현지 파트너 기관으로의 권한 이양과 자립 준비라는 큰 변화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아디와 함께해주시는 모든 분들께 올 한 해 눈부신 변화가 함께하기를 바라며, 

2024년에도 샨티카나와 로힝야 여성들이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어갈 수 있도록 

회원 분들의 따뜻한 관심과 응원 부탁드립니다!


주소 : 서울시 성동구 왕십리로 115  헤이그라운드 서울숲점 G402호  | 전화번호 : 82-2-568-7723 | 이메일 주소 : adi@adians.net 

고유번호 : 859-82-00276 | 대표자 : 박상훈

유엔 ECOSOC 특별협의지위 자격단체

기재부 고시 지정기부금단체 (기부금영수증 발부)


COPYRIGHTⓒ2016 ADI All rights reserved. 

SITE BY SANCHAE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