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기록]로힝야 민간인 상대로 납치와 강제 이주, 선전 행위 벌인 아라칸군

2025-05-21
조회수 51

○ 해당 내용은 로힝야 인권 센터(RHRC)의 기록을 번역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원문은 여기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아라칸군의 모습 ⓒAA Info Desk via VK

아라칸군(AA)이 라카인 북부에 남아 있는 로힝야 사람들을 상대로 납치, 강제 이주, 의도적인 선전 활동을 벌였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아라칸군의 허위 정보 캠페인과 함께 납치된 로힝야 민간인

  2025년 5월 5일, 무고한 로힝야 민간인 모하메드 아이우프(42), 모하메드 일리야스(26), 고푸르 알롬(47) 3명이 북부 마웅도 타운십의 치칼리(Chilkhalli)와 카욱 창(Kyauk Chaung)에서 아라칸군에 의해 납치되었습니다. 아라칸군의 개입을 확인할 수 있는 믿을 만한 증거와 목격자 진술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라칸군에 동조하는 일부 언론 매체는 이 사건에 대해 아라칸 로힝야 구세군(ARSA)을 비난하며 허위 정보를 적극적으로 유포하고 있습니다. 

 이에 ARSA의 한 고위 지휘관은 아라칸 프레스 네트워크 뉴스(Arakan Press Network News)를 통해 해당 납치 사건과 무관하다는 입장을 분명하게 밝혔습니다. ARSA는 로힝야 무슬림은 물론, 불교 공동체를 포함한 모든 민간인을 대상으로 한 폭력 행위를 엄격히 금지하는 내부 방침을 지키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아라칸군과 언론 매체들이 사실을 왜곡해 ARSA에게 책임을 떠넘기고, 자신들의 잔혹 행위를 감추려는 의도가 분명히 드러나고 있습니다.



로힝야 터전 점령 후 강제 이주 조치

 2025년 4월 20일부터 아라칸군은 북부 부티동(Buthidaung) 타운십 지역에서 40개 마을의 주민들에게 퇴거를 명령하고 있으며, 현재도 강제 이주를 계속 진행 중입니다. 시민들의 증언에 따르면 이는 국내 실향민(IDP) 캠프를 설치하기 위한 조치로 알려졌습니다. 게다가, 아라칸군는 로힝야 청년들을 자의적으로 체포하고 강제로 혁명군에 징집하고 있으며, 종교 활동, 이동, 생계 활동 등에 대해 심각한 탄압과 통제를 가하고 있습니다.

 2017년 분쟁 당시에도 해당 지역인 파웅도우 파얀(Phaung Daw Pyan) 마을 주민들은 모두 방글라데시로 피신해야 했으며, 그동안 파웅도우 핀(Phaung Daw Pyin)과 모노(Mono) 마을에서는 군부에 의해 173명이 잔혹하게 학살당했습니다. 희생자 대부분은 교육자였으며, 시신조차 수습되지 못했습니다.



안전한 귀환을 위해 비용까지 지불했지만 구금된 로힝야 귀환민들

 2024년 아라칸군과 미얀마 군부 분쟁 당시 방글라데시로 피신했던 로힝야 일부가 아라칸군에 의해 2025년 4월 26일 라카인주의 마웅도 타운십으로 귀환하게 되었습니다. 곤나 함렛(Gonna Hamlet)과 쉐자 알레 라와(Shwe Zar Ale Rawa) 출신의 총 27가구, 약 100명의 규모입니다.

 이들은 지역 중개인을 통해 안전한 귀환을 약속받는 대가로 1인당 100만 짯(MMK)을 지불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그러나 마웅도 도착 직후, 이들은 국경수비대경찰(Border Guard Police)에 의해 구금되어 무장 단체와의 연계 혐의로 조사를 받고 있습니다. 가족들의 증언에 따르면, 현재 구금된 이들은 열악한 환경에 수용되어 있으며, 식량과 의료 지원도 거의 없는 상태입니다. 비극적이게도 이 과정에서 어린이 두 명이 설사로 사망했으며, 중태에 빠진 어린이들도 발생했습니다. 지역 사회는 즉각적인 인도적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더 많은 생명이 희생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RHRC는 국제 인권 단체, 언론, 정의 옹호자들이 이러한 인권 침해를 조사하고 선전을 폭로하며 

로힝야족 박해에 대한 아라칸군의 범죄에 대해 책임을 물을 것을 촉구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동 60-14 가산KS타워 1207호  | 전화번호 : 82-2-568-7723 | 이메일 주소 : adi@adians.net 

고유번호 : 859-82-00276 | 대표자 : 박상훈

유엔 ECOSOC 특별협의지위 자격단체

기재부 고시 지정기부금단체 (기부금영수증 발부)


COPYRIGHTⓒ2016 ADI All rights reserved. 

SITE BY SANCHAEG